본인은 컴퓨터를 구매함에 있어 아래와 같은 기준을 잡고 구매한다.
1. 활용 용도 (게임용인지 편집용인지 사무용인지 등등)
2. 견적 금액 (100만원인지 200만원인지 등)
3. intel & amd 계열인지
위에 3개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액' 이라고 생각한다. 솔직히 내가 돈이 많아서 얼마가 되던지 상관없다고 한다면 제일 좋은 컴퓨터 사면 게임도되고 편집도되고 사무용도 되기때문에. But 나는 충분히 돈이 없고 한푼이라도 아껴서 살아야하는 서민이다. 고로 생각하고 절약하고 할인을 찾아 단돈 만원이라도 싸게 사기위해 발품을 판다.
이글을 작성하게 된 이유는 나와같이 한푼이라도 절약해서 컴퓨터를 구매하고 싶은 사람들이 있을 것 같아서 조금이지만 그들에게 도움이 되기위해 한글자 적어보도록 하겠다.
컴퓨터를 사는 방법은 대략 두가지로 나뉜다.
1. 오프라인 매장 (디지털단지 혹은 전자상가)에서 발품을 팔아 컴퓨터를 구매하는 방법
2. 온라인 매장 (조립컴퓨터 혹은 완제품PC)
가장 쉬운 방법은 온라인 완제품 pc를 구매하면 된다. 가격도 30만원 대부터 10만원 대 까지 세세하게 나뉘어 손놈들은 그저 결제만 하면된다. 다만 완제품 pc의 경우 터무니없이 비싼가격이 대부분이라 생각한다. 성능은 둘째치고 저렴한 제품을 사용하여 판매해야지 본인의 마진율이 올라가기때문에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는다.
두번째로 오프라인 매장 (용산 전자상가)에서 구매하는 방법이다. 미리 인터넷으로 가격대를 알아가고 꼼꼼히 따져야하며 본인이 컴퓨터지식이 없다면 인터넷으로 사는 것보다도 덤탱이 쓸 확률이 크다. 다나와 PC 견적에서 견적을 받아 이보다 싸게 구매할 수 있다면 단돈 얼마라도 싸게 구매할 수 있다.
본인의 경우 지방에 살고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온라인으로 구매를 해서 조립하는 편이다. 개인적으로 중고나라에서 값싸게 올라오는 새 컴퓨터들은 믿고 거른다. (이미 사기 당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ㅠ_ ㅠ) 내가 생각하기에 컴퓨터를 가장 싸게 사는 방법은 최저가 부품을 하나하나 찾아 모으는 것이다. 생소하고 어렵다고 생각하여 이를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생각보다 조립하는 방법은 쉽고, 인터넷에는 궁굼해하는 대부분의 질문을 해결할 수 있다.
컴퓨터를 구매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품을 나열하자면.
1. CPU
2. 메인보드
3. 그래픽카드
4. HDD (저장장치)
5. 케이스
6. 메모리
7. 파워
8.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9. 모니터
정도 된다.
1. CPU
제일먼저 정하는 부분은 CPU라고 생각한다. 본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가 게임인가 편집인가 사무용 컴퓨터인가에 따라 결정하게 되는데, 게임용이라고 한다면 하고자하는 게임의 최소, 최고사양을 찾아 그안에 맞는 CPU를 구매하면 되며, 편집용이라면 편집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일러스트레이터, 포토샵 등)의 최소, 최고사양 등을 확인하여 구매하면 된다. 사무용 컴퓨터의 경우 정말 저렴한 CPU 구매해도 상관없다. 쉽게 CPU를 고르는 방법은 네이버나 다음에 XXX용 CPU 치면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것으로 고르면 되겠다. (예시 배틀그라운드 용 CPU)
2. 메인보드
CPU를 샀다면 CPU에 맞는 메인보드를 구매하면된다. 개인적으로 메인보드는 저렴한 것을 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물론 컴퓨터에 대해서 잘알고, 내가 오버클럭 & LED 튜닝 등등 비싼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사용한다면 어쩔 수없지만 개인적으로는 CPU와 호환되는 메인보드 싼거 그냥 사면된다. 개인적으로 msi, 기가바이트, asrock, asus의 제품을 선호한다.
3. 그래픽카드
다음으로 그래픽카드가 있다. 그래픽카드 또한 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게임 혹은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사면 되겠다. 주의 해야할 사항으로는 게임용 모니터 144Hz 혹은 QHD, UHD 모니터의 경우 FHD 60 Hz 모니터 보다 더 높은 그래픽사양을 요구한다. 종류는 지포스와 AMD로 나뉜다. 개인적으로 아직까지는 지포스 그래픽카드가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다. AMD 사는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많은 것을 설정해야 한다.
4. HDD (저장장치)
하드디스크를 말한다. 보통 1TB의 용량이면 된다. 따로 영화나 드라마 등을 저장하지 않고 스트리밍 혹은 외장하드디스크를 사용한다면 500GB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예전 하드디스크 말고 SSD 를 추천한다. 예전에 비해 가격도 많이 싸졌으며 하드디스크보다 엄청나게 빠른 속도 체감이 된다. NVME가 가장 빠르다고 하지만 개인적으로 SSD 에 비해 비싼 가격많큼의 값은 아직 못한다고 본다. 추천하는 모델은 삼성전자 860 evo 500GB 이다.
5. 케이스
케이스는 고사양으로 갈수록 비싼 것을 사용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100만원 이하의 조립컴퓨터를 맞추는 사람들은 디자인 이쁘면 그냥 그거 사면된다. 주의 사항은 메인보드와의 호환성을 확인해야 한다. 네이버 카페나 네이버 지식인에 올리면 본인의 지식을 뽐내고 싶어하는 많은 분들이 그대들을 구원해 줄 것이다. 보통 대부분의 컴퓨터는 미들케이스를 사용하며, CPU쿨러 (공랭, 수랭)을 별도로 설치 하고자 한다면 케이스와 호환이 되는지 꼭 확인을 하여야 한다. 추천 케이스는 브라보텍 s820 LED가 이쁘다. 저렴한 가격인데 LED 변경이 가능하다. 메인보드가 호환한다면 LED 씽크를 통해 프로그램으로 색상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단에 수랭쿨러를 달아도 공간에 여유가 많다.
6. 메모리
메모리에 LED 불이 들어와야한다. 나는 초고성능 메모리를 사용할 것이다. 가아니라면 그냥 삼성전자 메모리 사용하면된다. 2019년도 5월 기준 DDR4 가 표준 메모리 이다. 잘모르겠으면 링크눌러서 이제품 구매하면된다. 나중에 DDR5가 나오면 이제품을 사면 안된다. 절대루.. 삼성전자 DDR4 8G PC4-21300 또한 램은 듀얼구성이 컴퓨터 사용에 더 용이하다. 16G 램을 설치 한다고하면 16G 하나 보다 8G 두개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냥 그렇다고한다. 깊게 들어가지말자.)
가격에 부담이 없다면 16G 맞춰서 두개 사면된다 두개에 약 8만원이면 구매가능하다.(1년전만 해도 한개에 9만원 이었다.)
7. 파워
파워는 컴퓨터의 심장이다. 좋은 브랜드로 사야지 컴퓨터 수명이 보장된다. 개인적으로 시소닉이나 안텍을 추천한다. 정말 저렴한 브랜드를 찾는다면 마이크로닉스 클래식2 추천한다. 차마 링크는 못걸겠다.. 브랜드를 골랐다면 내컴퓨터에 필요한 정격전력에 맞춰 구매를 해야한다. 보통 컴퓨터의 전력을 제일 많이 소비하는 것은 그래픽카드 임으로 그래픽카드에 필요한 전력을 확인 하여 구매하면 된다. 이또한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무수하게 많이 알려주기 때문에 패스!
8.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취향따라서 사면된다. 이쁘면 사면된다. 각자 손크기가다르고 좋아하는 스타일이 다르기때문이다. 본인은 britz 3만원짜리 스피커와 마제스터치2 키보드 로지텍 g102 마우스를 사용한다.
9. 모니터
모니터는 개인적으로 LG 모니터가 좋다고 생각한다. 다만 가격이 부담스럽다면 중저가 모니터를 골라야 한다. 고급라인이 아니라면 패널종류가 무엇인지는 별로 안중요한 것 같다. 그냥 디자인 이쁘고 저렴한거 사면된다. 다만 게이밍용이라면 빠른 응답속도, 최대주사율을 확인하여야 하며, 해상도가 FHD QHD UHD 인지에 따라 가격이 많이 달라지게 됨으로 참고하면 좋겠다. UHD가 가장 해상도가 좋으며 그래픽 성능이 좋아야한다.
글을 작성하다보니 너무 뜬구름 식으로 작성한 것 같다. 다음번에는 실제로 다나와 최저가와 비교해가면서 어떻게 구매하면 싸게 구매할 수 있는지와 예시견적을 짜서 보여주도록하겠다. 이상! 뿅!
'잡학다식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10 설치파일 다운받기 (0) | 2019.05.06 |
---|---|
혼자서 윈도우 10 설치하기 part. 1 (0) | 2019.05.06 |